경의선은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복선철도로
일제가 한반도 지배와 대륙 침략을 위해 1904~1906년 건설했다.
용산~신의주간 518,5Km가 1906년4월 3일 개통되었다.
경부선과 함께 한반도 남북을 관통하는 주요 철도로
수많은 지선이 연결돼 운수교통량이 전국 철도 중 가장 많았다.
남북분단으로 운행이 중단됐으나
2000,6월 남북 정상회담 후 경의선 복원사업이 구체적으로 논의 되었고
2009년 서울역에서 문산역까지 광역전철이 개통됐다.
경의선 숲길은 옛 경의선 철길 중 용산에서 가좌까지 연결되는
용산선 구간 6,3JKm가 지하화됨에 따라 지상에 만든 공원이다.
옛 경의선 철길에 대한 기억과
흔적의 이미지(레일, 침목, 쇄석, 콘크리트 등)를 모티브로 해 조성했다.
경의선 책거리는 마포구가 경의선 홍대복합역사에
독서문화가 살아 숨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 책 테마거리이다.
마포구는 이 곳을 찾는 시민들이 세상에 나온 책 한권의 가치를 통해
건강한 삶의 지혜를 함께 나누고 마포구 출판산업이 더욱 발전하기를 바라며
2016년 10월 조성을 완료하였다.
경의선 책거리는 홍대입구역 6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책거리로 연결된다.
경의선 책거리 옛 철길위에 객차 모양을 닮은 서점들이 만들어저 있다.
출판사들이 운영하는 서점에서는 이 곳을 찾는 시민들이
부담없이 책을 읽을 수 있게 자리가 만들어저 있고
책도 일부 할인판매하고 있다.
현재는 13개 출판사가 이 곳에 책 부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책거리는 책 부스말고도 시민들이 산책을 즐길수 있게 조성되어 있다.
책 부스 내부
책 부스는 월요일은 쉬고 평일은 오전 11~오후 8시까지 운영한다.
책거리 역도 만들어 놓았다.
일부 구간에는 옛 철도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옛 철도 건널목은 그대로 보존하여 놓았다.
차단기가 내려지면 이 도로에서는 자동차와 보행자들이
가던길을 머추고 기차가 지나가기를 기다려야 한다.
기찻길 옆 다소 어둡던 옛 동내의 모습도 조금씩 밝은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산 호수공원의 봄풍경 (0) | 2017.04.01 |
---|---|
명품춘난을 한자리에서..... (0) | 2017.03.14 |
고양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0) | 2017.01.04 |
덕유산 설경 (0) | 2017.01.02 |
서빙중에 노래하는 콩나물국밥집 사장님 (0) | 2016.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