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창이란
면 방적사가 평직으로 성글게 짜여 있는 면직물이다.
일반적으로 정련, 표백하여 흰색으로 사용한다.
열전도율이 매우 크면서 피복율이 매우 낮아
일반 의복용 보다는 주로
행주, 애기기저귀, 생리대등 위생적인 용도로 많이 사용한다.
요즘은 편의성 위주로 1회용품을 많이 사용하여
소창이 뭔지조차 아는 사람이 별로 없을듯 한데
최근에 환경문제가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자 외면받던 소창이 관심을 끌기 시작하는 모양이다.
요즘 소창을 생산하는 업체가 강화에 여러군데 있다는 사실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 나라 방직의 역사는 강화에서 부터 시작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방직하면 대구를 떠 올리지만 대구 보다 앞서 방직의 역사를 시작한 곳이 강화다.
강화 방직의 시조는 조양방직이었다.
조양방직은 대규모 방직회사였고 그 외에도 소규모 방직업체가 강화에 꽤 많았었다.
대구가 방직의 본류로 발전함에 따라 조양방직을 비롯하여 많은 방직회사가 문을 닫았지만
지금도 소규모의 방직공장이 강화에 여러곳 있다.
그 남아있는 방직공장에서 소창이 생산되고 있다.
강화군과 인천관광공사에서는
1938년에 지어진 일본식 한옥과 염색공장을 인수하여
2016년에 소창체험관을 개관하여 운영 중이다.
강화에서 가장 컸던 조양방직 자리는 카페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 카페에 가도 방직에 관한 아무런 자료도 없어 강화 방직의 역사를 볼수가 없다.
하지만 소창체험관에 가면 강화의 방직 역사나 그 자료들을 접할 수가 있다.
강화의 방직산업은 191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업체가 조양방직이었고
1970년대는 60여개의 크고 작은 방직공장에서
인조견, 넥타이, 커튼직물, 특수면직물을 생산하였다.
소창체험관에 들어서면 먼저 소창전시관에 들어가게 된다.
전시관은 평화직물의 염색공장 자리다.
평화직물은 조양방직의 공장장이던 이진수가 독립하여 세운 직물공장이었다.
천정의 전기 배선이 이체롭다.
오래된 미싱들이 시선을 끈다.
소창원단과 소창으로 만든 제품들
1회용 기저귀가 나오기 전에
출산을 앞 둔 엄마들은 소창을 필로 사다가 기저귀로 적당하게 잘라서
끓는 물에 삶고 햋볕에 말린 후 잘 접어두어 출산에 대비하였다.
오래된 전동식 방직기
우리네 어머니와 누나들이 사용하던 배틀
물래도 보이고.......
원사가 소창으로 나오기 까지의 재조공정이 순서대로 진열되어 있다.
소창의 원사는 수입품을 쓴다고 한다.
목화농사를 짓는 농가가 없고 수요도 많지 않기 때문에
원사가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수입 원사를 쓸 수 밖에 없다고 한다.
소창전시관의 문화해설사.
일본 출신으로 강화에 사는 한국인과 결혼하여 이젠 한국인이 되었다.
강화에 있는 소창 생산업체의 라벨들
친환경 제품인 면직물로 만든 애기옷
강화에서 최고급 원단인 양단도 생산되었다.
소창직조 시연관에서 실제로 배를 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시관을 나와서 체험관으로 가는 중간에 일제 때 지어진 살림집을 보게 된다.
일본식으로 지어진 고급 주택이다.
내부로 들어가 본다.
천정이 먼저 눈에 들어 온다.
한옥 구조인데 조금은 낯선이유는 뭘까?
상량을 보면 연대가 소화 14년 기묘년이라고 쓰여있다.
우리네 집 상량은 소화 몇년은 없고 그냥 기묘년이라 썼을 것이다.
한식과 일식의 혼합형 상량이랄까?
이 집을 지은 목제는 백두산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마루에는 강화의 화문석이 깔려있다.
이곳에서 SBS의 드라마 스위치가 촬영 되었다.
우물인데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체험관 내부
체험관에서는 방문자에게 무료로 손수건 크기의 소창 한조각을 제공한다.
그 천에 무늬를 넣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여러 문양의 스탬프에 물감을 발라서 소창에 무늬를 넣는다.
스탬프는 강화를 상징하는 인삼, 순무, 포도등등 여러가지가 있다.
내가 만들어 본 소창 손수건
강화 순무, 인삼, 포도, 강화쌀을 넣어봤다.
소창체험관은 10:00시~18:00까지 운영되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장사 우화정 (0) | 2019.04.15 |
---|---|
일산 호수공원의 봄 풍경 (0) | 2019.04.11 |
강화 조양방직 카페를 가보니 (0) | 2019.03.26 |
고군산열도 쥐똥섬 일출 (0) | 2019.03.20 |
가창오리 군무는 보지 못하고 지는 해만 담아왔다. (0) | 2019.03.06 |